전체 글 167

[STS] 서버 설정하기

STS(Spring Tool Suite) 안녕하세요. 오늘은 STS 초기 설정 중 서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TS는 이제 설치하기가 매우 쉽습니다. 예전에 이클립스에서 추가 설치하는 방법 뿐 아니라, 패키지 자체를 아래 홈페이지에서 쉽게 다운받을 수 있기때문이죠 (http://spring.io/tools) 해당되는 OS에 맞게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오늘은 제가 처음 STS를 설치하고 Hello World를 출력해보기 위해 막 시도했을 때... 잘 알지 못해 애를 먹었던 서버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Server가 무엇인가 혹시 STS 설치 후 왼쪽 하단에 위와 같은 모습을 보신 분이 있으실거에요. '이용할 수 있는 서버가 없으니... 서버를 추가하라' 는 말입니다. 처음에 저..

SoftWare 2017.01.14

[ITIL-6] Service Transition(1)

안녕하세요. 오늘은 Service Transition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ITIL Service Transition(1) Service Transition에 대해 두 번의 포스팅으로 나누어 정리하겠습니다. ■ 정의Transition (전환)- IT 서비스 및 구성 항목이 다른 형태로 변화 하는 것 프로젝트 진행 간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기능적, 비즈니스적인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성공적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단계 ■ 목적Service Transition의 목적은 다음 가치를 얻는 것에 있습니다. 1. 프로젝트 전환에 따른 비용, 시간, 리소스, 위험 등을 산출2. Service Transition의 성공률을 높임3. 서비스에 대한 위험 및 영향 최소화4. 전환 이후 서비스..

ITIL v3 2017.01.11

[ITIL-6] Service Design (2)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 Service Design에 대해서 정리를 하겠습니다. ITIL Service Design(2) 지난 포스팅에서 Service Design의 정의 및 목적, 주요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Service Design의 Process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Service Design에는 총 8개의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 Design Coordination- Service Catalog Management- Service Level Management- Availability Management- Capacity Management- Service Continuity Managemen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upplie..

ITIL v3 2017.01.04

[OpenGL-7] Projection Matix

안녕하세요. 일곱번째 포스팅입니다 ^^ 오늘은 Projection Matrix라는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 요구사항 * 7.1. Projection Matrix 7.2. Parallel Projection 7.3. Perspective Projection 7.1 Projection Matrix Projection Matrix가 무엇일까요? Projection이란 투사, 투영이라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원근감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정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이후 3차원 좌표를 우리의 2D 모니터로 투영시키는 것이 Projection Matrix의 역할입니다. 한번 투영된 이후에는 z 값이 사라지므로 역산을 할 수는 없습니다. 크게 2 가지의 Projection으로 나뉘..

OpenGL 2016.12.31

[ITIL-5] Service Design (1)

안녕하세요. 오늘은 Service Design에 대해서 정리를 시작해볼까합니다. ITIL Service Design(1) 지난 Service Strategy에 이어 Service Design에 대해서 정리하도록할게요. 먼저 Service Design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아야겠죠? 정의 및 목적 그리고 프로세스에 대해 순서대로 정리하겠습니다. ■ 정의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단계 쉽게 말해서 서비스를 어떻게 개발할지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개발까지 관리하는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프로세스는 4가지 주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목적Service Design의 목적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목표 달성목표로 세운 품질, 보안 관리등의 요구사항을 달성..

ITIL v3 2016.12.27

[Linux Study-15] ln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링크에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ln ln명령어는 Link의 약어로서, 리눅스에서 링크파일을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요. 각 링크의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심볼릭링크 (Symbolic Link)원본파일을 가르키도록 링크 시켜준 것. 바로가기와 같은 것원본파일과 링크파일의 크기 무관원본파일 삭제 시 링크파일은 깜박거리며 원본이 없다고 알려줌 - 하드링크 (Hard Link)원본파일과 다른이름으로 존재하는 동일한 파일.원본파일을 그대로 복사하여 이름을 다르게 한 동일 파일원본파일을 삭제해도 링크파일은 삭제되지 않음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ln [옵션] [원본파일] [대상파일]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b ..

Linux 2016.12.27

[WidgetCal] 설치 및 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이폰에서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무료 캘린더 어플을 소개하겠습니다. 아이폰은 안드로이드폰과 달리 위젯이 다양하지 않은데요. 위젯칼이라는 어플을 활용하면 한눈에 캘린더를 볼 수 있어 좋더라구요. 위젯칼 - WidgetCal(Notification Calendar/Reminder) WidgetCal이라는 무료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설치방법은 매우 간단하죠 App Store에 가서 widgetcal이라고 검색하신 후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 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나올거에요 무료버전이라 그런지 아래 광고가 있죠. 광고를 제거하기 위해선 약 1$의 결제가 필요합니다.(위젯에는 광고가 안나오니 안심하세요) 어플을 실행하면 위와같이 1주일의 일정을 볼 수 있고요. (일, 주, 월, 연 단위 설..

SoftWare 2016.12.25

[Linux Study-14] rm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삭제에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필요하지만, 가장 위험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안전하게 잘 사용하기 위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rm rm명령어는 remove의 약자로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윈도우와의 차이점은... 휴지통으로 보내는 것이 아닌 바로 삭제이므로, 복구할 수 없다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위험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rm [옵션] [파일 및 디렉토리 위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f : 삭제 시 어떻게 처리할 지 물어보지 않음- r : 디렉토리 삭제 시 사용.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모두 삭제- v : 파일 삭제 시 해당 파일의 상세 정보를 보여줌 예시를..

Linux 2016.12.15

[Linux Study-13] chown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권한에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번 chmod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다루었는데요. 오늘은 디렉토리 및 파일의 소유자를 바꾸는 명령어인 chow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hown chown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바꾸는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root계정으로 만든 파일을 user1이라는 계정이 소유하게끔 변경해주는 것이죠 이 명령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그룹 소유 2가지를 바꿀 수 있는데요. 먼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변경chown 사용자 대상 그룹 변경chown 그룹 대상 사용자 및 그룹 변경chown 사용자:그룹 대상 그럼 어떻게 직접 사용되는지 예제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root@localhost ~]# ls -al-rw-rw-rw- 1..

Linux 2016.12.04

[ITIL-4] Service Strategy (2)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Service Strategy의 각 프로세스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ITIL Service Strategy (2) Service Strategy단계의 프로세스는 총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ervice StrategyService Portfolio ManagementDemand ManagementIT Financial Management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 Process 1. Service Strategy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단계의 서비스 컨셉을 개발하는 프로세스이 프로세스는 4가지 주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시장 이해시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전 시장 이해가 중요합니다.해당 시장에서 나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자를 분..

ITIL v3 2016.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