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7

[Linux Study-10] cp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cp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할까합니다. cp cp 명령어란 무엇일까요? c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특정 파일을 복사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디렉토리나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하는 것이죠 (정확한 경로를 입력하여서요) crtl + c, crtl + v와 같은 역할이죠! 이런 저런 용도로 많이 쓰이지만... 가장 중요하게 쓰일 때는 중요한 파일을 backup할 때 사용합니다. 그렇기에 그 쓰임을 정확히 알고, 잘 사용하여야 위험에 대처할 수 있답니다. 사용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cp [옵션] [파일명_src] [파일명_dst] cp의 옵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a : 원본 파일의 속성, 구조 등을 그대로 유지하여 복사-b : 복사할 때 같은 이름..

Linux 2016.11.02

[OpenGL-4] Callback and Transformation

안녕하세요. 네번째 포스팅입니다 ^^ 오늘은 cube를 만들고, 여러 콜백함수를 통해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예정이었지만... 그 전에 좀 더 확실히 하기 위해 콜백함수와 여러 변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후에는 정말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시다~ 4.1 Callback Callback 함수에 대해서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어느 언어를 사용하던지 꼭 듣게되는 녀석입니다 opengl의 glut라이브러리 역시 callback 함수를 가지고 있는데요. Main event loop에서 여러 callback함수를 제어합니다. 그럼 먼저 callback함수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Display() : 윈도우가 그려질 때 * Idle() : 아무 이벤트가 없을 때 * Keyboard(unsign..

OpenGL 2016.10.30

[Linux Study-9] ps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ps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할까합니다. ps ps 명령어란 무엇일까요? ps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의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시스템에 어떠한 프로세스가 떠 있고, 그 상태가 어떤지에 대해 숙지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겠죠? 사용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ps [옵션] ps도 마찬가지로 옵션이 있습니다. 옵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a :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e : 커널 프로세스를 제외한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c : 지정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 출력-g : 지정된 그룹 ID에 대한 정보를 출력-t : tty를 지정하여 정보를 출력-f : 모든 형태의 정보를 출력-h : 프로세스를 계층형으로 출력-m : 쓰레드 정보를 출력-u ..

Linux 2016.10.30

[Linux Study-8] grep 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시간에 말한대로 grep에 대해서 정리할까합니다. grep grep이란 무엇일까요? grep은 텍스트 검색 기능을 가진 명령어 입니다. 파일 내에서 지정한 패턴이나 문자열을 찾고,그 내용을 출력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죠. 파일 내 뿐만 아니라, 디렉토리 내에서 지정한 패턴을 가진 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grep도 옵션이 있네요? 그럼 grep이 가진 옵션에 대해 먼저 알아 볼까요 -c : 패턴이 일치하는 행의 수를 출력-i : 비교시 대소문자 구분 안함-v :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행만 출력-n : 행 번호와 함께 출력-l : 패턴이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출력-w : 패턴이 전..

Linux 2016.10.27

[Mp3tag] mp3파일에 사진 및 가사 넣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Mp3tag라는 software를 이용하여 mp3에 사진과 가사를 넣어보겠습니다. 먼저 Mp3tag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mp3tag.de/en/download.html 다운로드 받으시면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 ^^ 설치를 완료하고 실행시키면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mp3파일에 사진 넣기 먼저 mp3파일에 사진을 넣어봅시다~ 왼쪽 아래 CD모양이 보이시나요? 우 클릭하세요. 위와 같이 메뉴가 떴나요? 여기서 표지 추가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원하시는 이미지를 넣으시면 끝입니다. 참 간단하죠 ? ㅎㅎ 어렵지 않습니다 ^^ 이렇게 앨범 자켓 사진을 넣어주시면 되요~ mp3파일에 가사 넣기 다음은 가사 넣는 방법입니다~ 이것도 매우 간단하니 잘..

SoftWare 2016.10.25

[OpenGL-3] GLSL이란

안녕하세요. 세번째 포스팅입니다 ^^ 오늘은 지난번에 말씀드린대로 GLS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1 GLSL이란 GLSL이란 무엇일까요? GLSL은 openGL Shading Language의 약자로 opengl에서 사용하는 쉐이딩 언어입니다. 즉, OpenGL의 쉐이더를 컨트롤할 수 있는 간략하고 효율적인 언어입니다. 언어라고 하니 어려우실 것 같나요? glsl은 c언어와 매우 비슷해서 어렵지 않아요. c언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 합니다. c언어와의 차이점은 포인터, 재귀, 동적할당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 외 연산(벡터, 행렬 등), 구조체, 함수, i/o 등등 다 같습니다 ㅎㅎ 예제를 볼까요 #version 430 uniform mat4 u_ModelView; in vec3 P..

OpenGL 2016.10.24

[Linux Study-7] netstat 활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netstat에 대해서 정리할까합니다. netstat netstat란 무엇일까요? netstat는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TCP, UDP, 소켓 등) netstat도 여러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먼저 netstat 명령 옵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ㅎㅎ -a : 모두 보여주기-e : 확장 정보 추가. User부분과 Inode 열이 추가-l : 대기중인 소켓 리스트만 보여줌-n : 도메인 주소 대신 숫자로 출력-t : TCP 프로토콜 보기-u : UDP 프로토콜 보기 이 기능 또한 조합이 가능한 것 아시죠 ? 저는 -na를 자주 사용한답니다! [root@localhost ~]# netstat -na 그럼 아래와 같이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목록을 보여줍니다. [..

Linux 2016.10.23

[Royal TS] 설치 및 사용법

지난번 살펴본 소프트웨어가 putty였죠. 오늘은 여러 원격 데스크톱 및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는 툴인 RoyalT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RoyalTS는 이외에도 여러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것 하나면 모두 관리할 수 있겠죠? 오늘은 이 프로그램에 대해 설치 및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Royal TS 설치 Royal TS를 설치해 봅시다. https://www.royalapplications.com/ts/win/download 링크는 위와 같습니다. OS에 맞게 설치해주세요~ 위 사이트의 모습입니다. 저는 Royal TS를 다운로드 했습니다. (for Windows) 다운로드 받았으면 완료되었습니다. (용량이 꽤 크네요) Royal TS의 Free버전은 제한이 있습니다. 10개의 연결까지..

SoftWare 2016.10.22

[OpenGL-2] OpenGL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코드와 함께 OpenGL을 다시 공부하겠습니다. 오늘의 순서는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2. 1. 렌더를 위한 3가지 접근방법 2. 2. OpenGL Version Setting 2. 3. VBO & VAO 2.1 렌더를 위한 3가지 접근방법 렌더링을 위해 크게 3가지 접근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예제 이미지와 함께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이미지를 그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의 기억으로는 3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Immediate mode 2. Retained mode 3. GPU based mode 먼저 Immediate mode는 하나하나 계산해서 정보를 얻자마자 즉시 그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작은 일이 반복되는..

OpenGL 2016.10.20

[Linux Study-6] chmod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권한 설정에 대해 정리 해 볼까 합니다. 특정 파일, 폴더에 접근 및 사용하기 위해서는 권한이라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보통 root는 모두 접근이 가능하지만... 각 개별 사용자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또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파일들이 생길 때도 권한을 관리해야 하므로 필요하답니다. 1. chmod란?2. chmod기능 및 사용법 1. chmod란? chmod란 무엇일까요? chmod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리눅스의 디렉토리 / 파일에 대한 권한 관리 * 각 사용자가 디렉토리 /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명령어 쉽게 말해 리눅스 시스템에서 디렉토리, 파일 등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하는 명령어!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2. chmod기능 및 사용법 chmo..

Linux 2016.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