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182

[WidgetCal] 설치 및 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이폰에서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무료 캘린더 어플을 소개하겠습니다. 아이폰은 안드로이드폰과 달리 위젯이 다양하지 않은데요. 위젯칼이라는 어플을 활용하면 한눈에 캘린더를 볼 수 있어 좋더라구요. 위젯칼 - WidgetCal(Notification Calendar/Reminder) WidgetCal이라는 무료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설치방법은 매우 간단하죠 App Store에 가서 widgetcal이라고 검색하신 후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 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나올거에요 무료버전이라 그런지 아래 광고가 있죠. 광고를 제거하기 위해선 약 1$의 결제가 필요합니다.(위젯에는 광고가 안나오니 안심하세요) 어플을 실행하면 위와같이 1주일의 일정을 볼 수 있고요. (일, 주, 월, 연 단위 설..

SoftWare 2016.12.25

[Linux Study-14] rm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삭제에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필요하지만, 가장 위험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안전하게 잘 사용하기 위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rm rm명령어는 remove의 약자로 파일 및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윈도우와의 차이점은... 휴지통으로 보내는 것이 아닌 바로 삭제이므로, 복구할 수 없다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위험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rm [옵션] [파일 및 디렉토리 위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f : 삭제 시 어떻게 처리할 지 물어보지 않음- r : 디렉토리 삭제 시 사용.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모두 삭제- v : 파일 삭제 시 해당 파일의 상세 정보를 보여줌 예시를..

Linux 2016.12.15

[Linux Study-13] chown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권한에 관련된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번 chmod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다루었는데요. 오늘은 디렉토리 및 파일의 소유자를 바꾸는 명령어인 chow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hown chown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바꾸는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root계정으로 만든 파일을 user1이라는 계정이 소유하게끔 변경해주는 것이죠 이 명령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그룹 소유 2가지를 바꿀 수 있는데요. 먼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변경chown 사용자 대상 그룹 변경chown 그룹 대상 사용자 및 그룹 변경chown 사용자:그룹 대상 그럼 어떻게 직접 사용되는지 예제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root@localhost ~]# ls -al-rw-rw-rw- 1..

Linux 2016.12.04

[ITIL-4] Service Strategy (2)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Service Strategy의 각 프로세스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ITIL Service Strategy (2) Service Strategy단계의 프로세스는 총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ervice StrategyService Portfolio ManagementDemand ManagementIT Financial Management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 Process 1. Service Strategy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단계의 서비스 컨셉을 개발하는 프로세스이 프로세스는 4가지 주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시장 이해시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전 시장 이해가 중요합니다.해당 시장에서 나와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자를 분..

ITIL v3 2016.11.23

[Linux Study-12] zip, unzip, tar

안녕하세요. 오늘은 압축과 관련된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할까합니다. 크게 압축풀기 및 압축하기로 나뉘어지는데요. 그중에 먼저 .zip 파일을 압축하고 해제하는 명령어부터 보겠습니다. zip zip 명령어는 쉽게 느끼시는 것 처럼 압축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윈도우에서는 알집, 빵집, 반디집 등의 소프트웨어로 쉽게할 수 있지만, Linux에서는 이렇게 명령어 하나하나로 해주어야 한답니다. 그렇다면 바로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oot@localhost ~]# zip example.zip ./* 위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xample.zip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위치의 모든 파일을 압축하겠다는 명령어 입니다. 만약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압축하고 싶다면 -r 명령어를 사용해주면 됩니다..

Linux 2016.11.19

[다음팟인코더] 설치 및 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쉽게 사용가능한 무료 인코더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 인코더 프로그램이 무엇일까요? 인코더란 스마트폰, PC 등 여러 기기에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그 용도에 맞게 동영상을변환 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특히 다음팟인코더는 동영상 편집 기능도 제공하며, tv팟, 카페, 블로그 등에도 바로 업로드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다음 팟 인코더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다음팟인코더 설치하기 다음팟인코더 설치는 다음 TV팟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또한 아래 링크를 따라가서 다운로드 후 설치하시면 됩니다.http://tvpot.daum.net/application/PotEncoder.do 위 그림이..

SoftWare 2016.11.15

[ITIL-3] Service Strategy (1)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까지해서 ITIL Overview를 마치고, 오늘부터 ITIL의 각 영역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먼저 ITIL의 가장 첫 번째 영역인 Service Strategy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ITIL Service Strategy (1) ■ Service Strategy의 정의서비스 관리의 설계, 개발, 실행을 도와줌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에게 제공할 더 나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 단계서비스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가- 서비스 제공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가- 서비스 제공자가 수용할 수 있는 비용과 리스크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위 내용이 Service Strategy의 정의입니다. 쉽게 말해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제..

ITIL v3 2016.11.14

[OpenGL-6] Model View Matrix

안녕하세요. 여섯번째 포스팅입니다 ^^ 지난번 cube는 모두 잘 만들어보셨나요? 오늘은 Model View Matrix라는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 요구사항 * 6.1. Model View Matrix 6.2. Local to World Coordinate Transform 6.3. Camera Positioning 6.4. World Frame to Camera Frame 6.1 Model View Matrix Model View Matrix란 개념에 대해 알기 전 OpenGL에서 어떻게 객체를 표현하는지 다시 볼게요. 실제 객체가 Output되기까지 (우리 눈에 보일 때 까지) 많은 과정을 거치는데요. 그 중 하나의 과정이 바로 Model View 과정입니다. 전체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

OpenGL 2016.11.13

[ITIL-2] Overview(2)

안녕하세요. 오늘은 ITIL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파악해볼게요. ITIL Overview * ITIL의 정의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IT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IT서비스 관리 분야의 표준 모델. IT서비스 관리에 대한 모범사례를 모아둔 Best Pracitce version 3. 무엇을 할 것인가 + 어떻게 할 것인가의 개념이 추가되었음IT를 비즈니스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관리라이프 사이클 접근법을 도입하였으며,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위 내용이 지난 포스팅에서 정의한 ITIL입니다. 기억 나시나요? 이 외에도 ITIL 각 영역 및 프로세스 구성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죠. 오늘 포스팅에서는 그 구성..

ITIL v3 2016.11.09

[Linux Study-11] mv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은 mv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할까합니다. mv mv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p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하였는데요! cp명령어가 복사 명령어였죠? mv는 이름에서도 알다시피 이동시킬 때 쓰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잘라내기라고 생각하셔도 되요! ctrl + x, ctrl + v 와 같은 역할이죠! 사용 방법은 cp명령어와 아주 비슷해서 어렵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한번 보겠습니다. 사용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mv [옵션] [대상 파일] [move 위치] cp와 아주 똑같죠? 그렇다면 mv 또한 옵션이 있습니다. mv의 옵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i : 이동 시 같은 파일이 있으면 덮어쓸지 확인한..

Linux 2016.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