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2

[스프링 #7] Test

■ 스프링 #7. Test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테스트'란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합니다. 테스트의 작성은 스프링의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검증하고, 실전에 적용하는 방법을 익히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Test 테스트란 결국 개발자가 의도했던 대로 코드가 정확히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또한 테스트의 결과가 원하는 결과가 아닌 경우 코드나 설계에 결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UserDao의 오브젝트를 가져와 get 메소드를 호출하는 테스트 코드입니다. 테스트 결과를 콘솔에 출력하며, 문제가 없다면 출력되어 끝날 것입니다. // UserDao의 메소드를 테스트하는 경우 public class UserDaoTest { public static void..

Spring 2019.03.30

[AWS] RDS 생성하기

■ [AWS]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생성하기 오늘은 AWS RDS 생성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RDS란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정, 운영, 확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DB 엔진을 제공해주는 아주 고마운 서비스이죠. 그럼 차근차근 하나씩 생성해보겠습니다. (프리티어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생성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RDS로 접근합니다. 처음 접근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앙에 보이시는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합니다. ● 엔진 선택 위의 간단한 설명에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제공한다고 했는데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

AWS 2019.03.07

[AWS] EC2 보안그룹 (Security Group) 설정

■ [AWS] EC2 보안그룹 (Security Group) 설정오늘은 AWS EC2의 보안그룹 (Security Group)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EC2에서는 보안그룹 규칙을 통해 EC2 인스턴스로 들어오고 나가는 트래픽을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SH접속 포트인 22번 포트는 개발자 PC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고 서비스 포트인 80포트는 모두에게 허용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그럼 보안그룹 설정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추가로 AWS EC2 생성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https://zamezzz.tistory.com/296 ● 보안 그룹 생성 EC2의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그룹 생성을 클릭하시면 아래 ..

AWS 2019.02.10

[AWS] S3 객체 업로드 및 액세스 설정

■ [AWS] S3 객체 업로드 및 액세스 설정 오늘은 AWS의 S3 객체 업로드 및 액세스 설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S3 버킷 생성에 관한 포스팅은 바로 이전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http://zamezzz.tistory.com/298 ● S3 객체 업로드 지난 포스팅에서 생성된 버킷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객체 업로드 및 설정을 하나도 안했을 경우) 객체 업로드부터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화면 중앙의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콘솔화면에서 객체 업로드 화면이 나옵니다. 파일 추가를 통해 샘플 파일 하나를 업로드해보겠습니다. (저의 경우 sample.html) 파일 추가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권한 설정이 나오는데요. 다른 AWS계정에게 액세스 권한을 추가하거나 퍼블릭..

AWS 2018.12.27

[AWS] S3 bucket 생성하기

■ [AWS] S3 Bucket 생성하기오늘은 AWS의 S3 생성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S3란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쉽게말해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부터 정적인 웹 사이트 서버로써 활용도 가능합니다 AWS 프리티어에서는 S3 용량 5GB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GET 요청 2만개와 PUT요청 2천개를 무료로 1년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 S3 Bucket 생성 먼저 서비스 -> 스토리지 -> S3 메뉴를 클릭합니다. 처음 메뉴에 접근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거에요. 왼쪽 상단 +버킷 만들기 또는 중앙의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클릭하시면 그 다음 버킷이름과 리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버킷이 존재한다면 해당 버킷..

AWS 2018.12.26

[Linux Study-22] cat 명령어

■ cat 명령어 오늘은 cat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cat은 보통 파일을 화면에 그대로 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따로 vi나 tail로 보는 대신에 간단하게 파일 내용을 단순히 보고 싶을때 또는 파일 내에 일치하는 문자(내용)을 검색할 때 사용합니다.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root@localhost ~]# cat [옵션] [파일명] 그리고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b : 줄 번호를 표시 (공백 행에는 안붙임)- n : 줄 번호를 표시 (공백 행에도 번호를 붙임)- e : 각 행의 마지막에 $ 문자열을 표시- s : 연속되는 2개 이상의 공백 행을 하나로 출력 cat 명령어는 grep 명령어와 조합하여 파일 내의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하시면 해당..

Linux 2018.12.22

[AWS] EC2 생성하기

■ [AWS] EC2 생성하기 (Elastic Compute Cloud)AWS의 EC2 생성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EC2란 클라우드 기반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오늘은 생성 방법은 프리티어 기준으로 진행하겠습니다. ● 인스턴스 생성 먼저 서비스 -> 컴퓨팅 -> EC2 메뉴를 클릭합니다. 리전은 아시아 태평양(서울)을 선택하였습니다. EC2메뉴로 이동하여 화면 중앙에 보시면 아래와 같은 버튼이 보일거에요.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 AMI 선택 그럼 이제 1단계로 넘어왔습니다. 1단계는 AMI를 선택하는 단계인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프리티어에서는 5가지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Amazon Linux 2 AMI- Amazon Linux AMI- Ubuntu Server-..

AWS 2018.12.20

[AWS] 결제 알람 설정하기 (Billing Alarm)

■ [AWS] 결제 알람 설정하기 (Billing Alarm) AWS 포스팅에서는 AWS의 프리티어를 기반으로 AWS의 다양한 제품에 대한 사용법을 공부하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는 AWS의 계정을 생성 후 신용카드 등록을 해주는 것입니다.https://aws.amazon.com/ko/ 위 부분은 매우 간단하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AWS의 프리티어란 AWS의 다양한 제품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도록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그 성능 및 기간의 제한은 있지만 매우 좋은 프로그램임은 확실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프리 티어임을 망각하고 막 사용하게 된다면 과금이 될 수도 있는데요. 실제 과금 폭탄을 맞았다... 등등의 사례를 통해 볼때 약간은 무섭기도 합니다. 이를 방지하고자 오늘 첫 번째 포스팅에서는 AWS의..

AWS 2018.12.14

[Prophet] Prophet 적용 #2 - 실제 데이터로 예측하기

■ [Ai] Prophet 적용 #2 - 실제 데이터로 예측하기 지난 포스팅을 통해 삼성전자의 주식 데이터를 구했었습니다. 그럼 이 삼성전자의 주식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예측을 해보겠습니다. 앞서 Prophet 튜토리얼을 진행하며 블로그 방문자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피쳐들을 적용시키면서 저만의 모델을 만들었는데요. 이 모델이 주식데이터 예측에도 잘 사용될 수 있을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히 데이터를 입력하여 앞으로의 결과를 예측해보고, 간단하게 결과를 분석해보겠습니다. 모델에 대한 튜닝 및 다른 피쳐 적용 등은 그 이후 포스팅에서 진행 예정입니다. ● 주식 데이터 입력 지난 포스팅에서 삼성전자의 주가 데이터를 구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http..

AI/Prophet 2018.08.19

[Prophet] Prophet 적용 #1 - 데이터 구하기

■ [Ai] Prophet 적용 #1 - 데이터 구하기 Prophet에 대해서 해당 git blog를 보며 튜토리얼을 진행했습니다. 이제 그 과정을 마쳤으니 우리 주변에 있는 실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해보려고 합니다.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흥미 있는 시계열 데이터이고, 그 추세가 매일 급변하는 데이터인 주식 데이터를 활용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먼저 주식 데이터를 구해야 하는데요. 간단한 파이썬 코드를 통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웹 크롤링에 많이 사용되는 BeautifulSoup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습니다.https://www.crummy.com/software/BeautifulSoup/bs4/doc/ 그리고 아래 다음 금융 페이지가 데이터를 크롤링 할 대상 페이지 입니다.http://finance..

AI/Prophet 201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