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11

[Serverless 서비스 개발] #7. CloudWatch 로깅 개선과 운영 전략

오늘은 마지막으로 로깅 개선에 대한 부분을 작성 해보려고 합니다.Serverless 구조에서는 보통 AWS Lambda에서 바로 연결된 CloudWatch를 통해 로깅과 모니터링을 처리합니다. 하지만 기본 로그만으로는 운영/디버깅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좀 더 고도화된 로깅 전략을 구성해볼 수 있습니다.그 몇가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 일반적인 로깅 형태기존에는 보통 이런 로그를 찍었을 겁니다System.out.println("User login success: userId=abc123");문자열 로그는 누구나 보기에 괜찮고, 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CloudWatch에서 특정 로그를 필터링하거나 수집하려면 너무 비효율적입니다.그래서 구조화된 로그(ex. JSON)를 ..

Backend Engineering 2025.06.30

[Serverless 서비스 개발] #1. 시스템 설계

안녕하세요. 최근에 인증 방식 등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는데요.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백엔드 서비스를 하나 만들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Serverless 인증 서비스 구현하기라는 작은 시리즈를 글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오늘은 그 첫 번째로 어떻게 진행할지 설계하는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왜 서버리스로 구현하나요?사이드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더라도 인증 시스템은 필수로 들어가야 합니다.하지만 EC2 환경 구성을 비롯하여 유지관리, 스케일링 등의 서버 관리를 모두 신경 쓰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요.그래서 이번에는 Serverless와 JWT를 이용해서 누구나 쉽게 개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 번 해보고자 했습니다. 단점 또한 있지만 프로젝트 초기에 매우 유연하게 활용 가..

Backend Engineering 2025.06.18

[AWS] S3 Presigned URL 활용 정리

오늘은 S3의 presigned URL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예전 글에서 S3에 대해서 조금은 다루었으니, 기본 개념은 건너띄고 바로 Presigned URL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참고 : S3 Bucket 생성하기 https://zamezzz.tistory.com/298)(참고 : S3 객체 업로드 및 액세스 설정 https://zamezzz.tistory.com/299) ■ Presigned URL ?Presigned URL은 S3에 접근할 수 있는 일회성 링크입니다.IAM 권한 없이도 이 URL을 통해 업로드나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사용 예시클라이언트가 직접 이미지 업로드 (ex. 모바일, 프론트)대용량 파일을 서버 거치지 않고 다운로드 처리(참고 : https://docs.aws.amazo..

AWS 2025.06.11

[AWS] Amazon Kinesis Data Firehose (3) - JAVA 연동

지난 AWS 콘솔에서 Firehose 설정을 마치고, 이번에는 실제 Java에서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예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가장 처음 해야 할 일은 aws sdk를 설정해야 합니다. implementation 'software.amazon.awssdk:firehose:2.18.16' build.gradle에 추가해주고, 별도의 라이브러리 설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kinesis 연결을 하고 데이터를 추가하는 함수를 구현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awsCredentials을 위한 key가 필요하니 먼저 준비해주시면 됩니다. 연결 예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ublic String putRecordRequest(String recordValue, String streamNa..

AWS 2023.01.17

[AWS] Amazon Kinesis Data Firehose (2) - Stream 생성

이번 포스트에서는 스트림 생성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코드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예제를 진행해보겠습니다. 먼저 Kinesis Data Firehose (KDF) 작동방식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일단 첫 번째로는 소스 및 대상 선택을 해야합니다. 소스는 Amazon Kinesis Data Streams과 Direct PUT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코드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는 예제를 진행해보려고 하고 있으니, Direct PUT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는 S3에 저장을 할 예정이므로, 대상에는 Amazon S3를 선택했습니다. 이어서 스트림 이름과 변형 및 변환에 대해 설정하게 되는데, 따로 변형 및 변환은 필요하지 않아 활성화 체크를 하지 않았습니다. ..

AWS 2023.01.13

[AWS] Amazon Kinesis Data Firehose (1) - 개념 정리

Amazon Kinesis Data Firehose에 대한 개념과 활용 예시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AWS에 정의된 내용에 따르면, Amazon Kinesis Data Firehose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캡처하고 전환하여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스토어, 분석 서비스에 전달하는 추출, 전환, 적재(ETL) 서비스입니다. 보다 이해하기 쉽게 아래 그림을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Input Data를 받아 바로 스트리밍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AWS Lambd와 함께 활용하여 데이터를 변환 후 처리할 수 도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데이터들은 S3, Redshift 등 AWS Serveice로 보내서 처리되며,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종 Output이 나오게 됩니다. 몇 가지 활용 예시가..

AWS 2023.01.04

[AWS] RDS 생성하기

■ [AWS]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생성하기 오늘은 AWS RDS 생성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RDS란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정, 운영, 확장이 가능하며 다양한 DB 엔진을 제공해주는 아주 고마운 서비스이죠. 그럼 차근차근 하나씩 생성해보겠습니다. (프리티어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생성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RDS로 접근합니다. 처음 접근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앙에 보이시는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합니다. ● 엔진 선택 위의 간단한 설명에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제공한다고 했는데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

AWS 2019.03.07

[AWS] EC2 보안그룹 (Security Group) 설정

■ [AWS] EC2 보안그룹 (Security Group) 설정오늘은 AWS EC2의 보안그룹 (Security Group)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EC2에서는 보안그룹 규칙을 통해 EC2 인스턴스로 들어오고 나가는 트래픽을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SSH접속 포트인 22번 포트는 개발자 PC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고 서비스 포트인 80포트는 모두에게 허용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그럼 보안그룹 설정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추가로 AWS EC2 생성에 관한 포스팅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https://zamezzz.tistory.com/296 ● 보안 그룹 생성 EC2의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그룹 생성을 클릭하시면 아래 ..

AWS 2019.02.10

[AWS] S3 bucket 생성하기

■ [AWS] S3 Bucket 생성하기오늘은 AWS의 S3 생성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S3란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쉽게말해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소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부터 정적인 웹 사이트 서버로써 활용도 가능합니다 AWS 프리티어에서는 S3 용량 5GB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GET 요청 2만개와 PUT요청 2천개를 무료로 1년동안 사용이 가능합니다. ● S3 Bucket 생성 먼저 서비스 -> 스토리지 -> S3 메뉴를 클릭합니다. 처음 메뉴에 접근하셨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거에요. 왼쪽 상단 +버킷 만들기 또는 중앙의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클릭하시면 그 다음 버킷이름과 리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버킷이 존재한다면 해당 버킷..

AWS 2018.12.26

[AWS] EC2 생성하기

■ [AWS] EC2 생성하기 (Elastic Compute Cloud)AWS의 EC2 생성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EC2란 클라우드 기반의 컴퓨팅 자원을 제공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오늘은 생성 방법은 프리티어 기준으로 진행하겠습니다. ● 인스턴스 생성 먼저 서비스 -> 컴퓨팅 -> EC2 메뉴를 클릭합니다. 리전은 아시아 태평양(서울)을 선택하였습니다. EC2메뉴로 이동하여 화면 중앙에 보시면 아래와 같은 버튼이 보일거에요.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 AMI 선택 그럼 이제 1단계로 넘어왔습니다. 1단계는 AMI를 선택하는 단계인데요. 아래 그림과 같이 프리티어에서는 5가지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Amazon Linux 2 AMI- Amazon Linux AMI- Ubuntu Server-..

AWS 2018.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