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IL Overview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
IT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
IT서비스 관리 분야의 표준 모델. IT서비스 관리에 대한 모범사례를 모아둔 Best Pracitce
version 3. 무엇을 할 것인가 + 어떻게 할 것인가의 개념이 추가되었음
IT를 비즈니스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관리
라이프 사이클 접근법을 도입하였으며,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위 내용이 지난 포스팅에서 정의한 ITIL입니다.
기억 나시나요? 이 외에도 ITIL 각 영역 및 프로세스 구성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았죠.
오늘 포스팅에서는 그 구성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리할게요.
Process
Process란 어떠한 것을 처리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 활동의 집합을 뜻합니다.
ITIL에서 Process의 역할을 아래와 같습니다.
* input을 통해 원하는 output으로 변환
* 특정 고객에게 결과를 전달
* 특정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
* 프로세스는 그 평가가 가능해야 함
Process는 3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Process Control : 프로세스 정책 설정
* Process it self : 프로세스 과정, 역할, 매트릭스, input & output 설정
* Process Enabler : 프로세스 간 소요되는 리소스 및 skill
Function
Function이란 함수라는 뜻이죠. 프로그래밍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프로세스는 Function이 잘 실행되도록 도움을 주며 실행됩니다.
즉 Function내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있고, 이를 통해 Function이라는 구조가 실행되는 것이죠
Role
Role은 특정 책임과 특권으로 정의됩니다.
* Service Manager : 모든 서비스의 성능 향상 및 개발에 책임을 가짐
* Product Manager : 관련있는 서비스의 성능 향상 및 개발에 책임을 가짐
* Service Owner : 하나의 서비스의 관리, 성능 향상, 통합, 설계 책임
* Process Owner : 하나의 프로세스의 관리, 성능 향상, 통합, 설계 책임
Taks |
Application Developer |
Application Owner |
Business Representative |
Business Analyst |
Draft Requirements |
|
A |
C |
R |
Validate Requirements |
R |
A |
R |
R |
Create Logical Design |
R |
C |
I |
R |
Create Data Design |
A/R |
I |
|
R |
Validate Design |
|
A/R |
C |
R |
기본적인 용어정리 및 ITIL Overview 내용은 여기까지가 끝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Service Strategy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각 영역별로 용어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그때 그때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TIL v3'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IL-5] Service Design (1) (0) | 2016.12.27 |
---|---|
[ITIL-4] Service Strategy (2) (0) | 2016.11.23 |
[ITIL-3] Service Strategy (1) (2) | 2016.11.14 |
[ITIL-1] Overview(1) (1) | 2016.11.06 |
[ITIL-0] ITIL 소개 및 프로세스 (0) | 2016.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