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ginx] 설치하고 사용하기
오늘 포스팅에서는 Nginx 서버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Nginx란, 웹서버의 종류 중 하나로 가벼움과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그 사용도가 상승세에 있습니다.
2018년 3월 27일 기준 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 netcraft.com)
곧 Apache를 따라잡을 것 같군요.
그럼 이제 Nginx의 설치방법을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 Nginx 설치
Nginx 설치방법은 다양합니다. 그 중 몇가지에 대해서만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yum을 사용한 방법입니다.
yum install nginx |
두 번째 방법은 brew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homebrew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에서 알아보았었죠 ~
brew install nginx |
세 번째 방법은 직접 패키지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링크로 가셔서 Stable version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nginx.org/en/download.html
위 방법들 외에도 여러 방법들이 있습니다.
모두 어렵지 않게 설치가 가능하실거에요.
설치 후 nginx를 실행시키시면 아래와 같은 초기페이지가 뜹니다.
그렇다면 정상적으로 설치되고 실행이 된 것입니다.
● Nginx 설정
다음은 Nginx conf 설정 내용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먼저 기본 경로는 다음과 같아요
설정파일 /etc/nginx
초기파일 /usr/share/nginx/html
conf파일은 위 설정파일 경로에 있는 conf파일을 vi명령어로 수정하시면됩니다.
초기 설정 파일 index.html 등을 변경하고 싶으시면 해당 위치로 해당 파일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 (에러페이지 포함!)
Nginx의 기본 설치 및 실행까지 알아보았습니다.
Nginx를 좀 더 다양하고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해보도록하겠습니다.
그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ymeleaf] URL 표현하기 (th:href) (1) | 2019.04.27 |
---|---|
[TextWrangler] Format JSON Filter 적용 (0) | 2018.06.27 |
[HTML] 리스트 태그 (ul, ol, dl) (1) | 2017.10.06 |
[Cron] 크론(cron) 표현식 정리 (2) | 2017.07.26 |
[CDATA] CDATA란 (0) | 2017.07.01 |